목록전체 글 (40)
이것도 알아야 하네?
■ Shell 개념 Shell 이란, 사용자와 Unix 계열 시스템 사이에서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고, 해당 입력을 기반으로 명령들을 처리하여 결과를 출력한다. ■ Shell Script 개념 Shell Script는 쉽게 이야기 하자면, Shell 환경에서 처리되는 명령어들의 모음이며, 작성된 순서대로 처리된다. Shell Script를 잘 이용한다면 방대한 양의 작업들을 자동화하여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 Shell Script 작성 예시 > 표준 입력이 없는 Shell Script $ vi test.sh sh 확장자를 이용하여 테스트용 Shell Script를 생성한다. Shell Script를 작성 시에 가장 중요한 점은, 아래 문장을 파일 가장 첫 번째줄에 적어 ..

지난 시간까지 git에 대한 개념과 로컬 저장소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다. 해당 내용을 확인하고 싶다면 ⬇⬇⬇⬇⬇⬇ git 완벽 정리 시리즈 > 0. 개념 및 시작하기 ■ git flow 기본적인 흐름은 아래와 같다. local 환경에서 작업 시 작업하고 있는 현재의 폴더를 Working Diretory라고 하며, 자유롭게 파일을 변경할 수 있다. 만약 변경된 파일을 원격 저장소에 반영하고 싶을 시에는, git add 명령어를 통해서 변경 이력을 전송할 파일을 선택하여 Staging Area로 만들고, git commit 명령어를 통해서 전송할 상태로 Local Repository에 있는 파일을 업데이트 시켜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git push를 해야지만 실제 원격 저장소의 파일들이 업데이트..
■ Version Control System(VCS) Git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Version Control System(VCS)의 개념부터 알아야한다. VCS란 시간에 지남에 따라 변경되는 파일의 이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이다. 모든 이력을 다 가지고 있기 때문에, 만약 파일 변경 후 문제가 생겼을 때도 특정 시점의 파일 상태로 원복할 수 있다. Git도 이러한 파일 이력 관리를 위한 도구 중 하나이지만, 변경 사항을 관리하는 방법에서 다른 VCS(CVS, Subversion 등)과의 차이가 존재한다. 다른 VCS의 경우는 이전 파일과의 차이만을 저장하는 반면, Git은 현재 파일의 순간의 모습을 snapshot으로 저장한다. Git은 workspace에서 변경한 파일을 sna..